법률행위의 대리1 - 대리의 의의, 적용범위, 민법상 대리, 종류, 간접대리, 사자 비교 [SOLMON Lab.]
법률행위에서의 대리제도에 대하여 설명하고, 대리의 법적 성질, 종류, 대리와 구별되는 제도 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앞으로의 포스팅에서 대리의 3면 관계인 대리권, 대리행위, 법률 효과 등에 관하여도 살펴볼 것이다. 쏠몬(SOLMON)의 민법 정리. 오늘은 법률행위의 대리 제1편 - 대리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E012. 법률행위의 대리1 - 대리제도 의의 대리란 타인(대리인)이 본인의 이름으로 의사표시를 하거나 또는 의사표시를 받음으로써 그 법률효과가 직접 본인에게 생기는 제도를 말한다. 법률행위의 효과가 행위자 이외의 자에게 발생한다. 대리와 구별되는 제도 대리와 구별되는 제도로서는 간접대리와 사자가 있다. 간접대리란 행위자가 타인의 계산으로 그러나 자기의 이름으로 법률행위를 하..
2021. 4.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