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재는 이제 끝... 날개펴기 시작
분석 Key Point
- 조원태 사내이사 재선임
- 코로나19 백신접종에 따른 해외여행 가능성
- 국내 여행상품 전략화
- 수에즈사고로 인한 반사이익 가능성
- 아시아나 합병에 따른 시장점유율 확대
기업정보 및 사업분야
[항공]
대한항공(003490)은 항공운송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국내 13개 도시와 해외 43개국 111개 도시에 여객 및 화물 노선을 보유하고 있다.
여객 및 화물 항공운수사업으로 대한민국의 국적사이며 최근 아시아나 항공을 인수하여 국내시장점유율은 물로 세계 탑5위 내의 메머드급 회사로 성장할 예정이다.
코로나19로 인해 해외여객산업이 위기에 처한 가운데, 국내선 활성화와 화물운송업을 타켓으로 하여 적자를 보전하였으며, 백신접종에 따른 해외여행 재개 가능성에 주목받고 있다.
투자정보
-
(1) 현재 주가
이제 시작이다.
대한항공 주가는 2021년 3월 26일 전일대비 4.66%(1,250원) 상승한 28,050원에 장을 마감하였다.
오전장부터 오후장까지 ...장 마감 시점까지 꾸준히 상승한 대한항공의 주가는 전일종가 26,800원에서 고가 28,200원을 기록하는 등 빨간불을 계속 밝히며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으면서 종가 28,050원에 장을 마감하였다.
금일 거래량은 4,685,270주이고 거래대금은 130,225백만원으로서 오늘 하루 투자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다.
오늘 조원태 회장이 국민연금공단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대한항공 사내이사에 큰 득표율로 재선임됨에 따라 이후 아시아나 인수 등 경영에 큰 추진력을 받을 전망에 주가상승을 크게 견인한 것으로 예측된다.
-
(2) 시가총액
대한항공의 시가총액은 9조 7,738억원으로서 시가총액이 코스피 기준 37위를 기록하고 있다.
상장주식수는 347,820,825주이며, 액면가는 5,000원 매매단위 1주로 구성되어 있다. 앞으로 아시아나 인수를 통해 더욱 더 기업규모는 올라갈 전망이다.
-
(3) EPS / PER / PBR
대한항공은 코로나19팬데믹 이전 약 13조원 규모의 큰 매출액을 기록하는 항공사였다. 그러나 코로나19 이후 항공산업에 심한 타격을 받은 이후에 절반가까이 매출액이 감소하며 위기를 맞았으나, 최근 국내선 활성화와 화물운송을 통해 적자를 보존하고 경영적자를 탈피하며, 최근 소규모 흑자전환을 유도하고 있다.
최근 3년간 당기순이익이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등 안좋은 모습을 보였으나, 최근 137억원으로 반등세를 보이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대한항공의 경영성과는 매우 저조하기 때문에 표면적 수치인 경영성과는 나쁘지만, 이를 해쳐 나가는 과정에 적자폭을 감소시키는 분위기는 좋아보인다.
주당순이익(EPS)은 -97원, PER는 -200배, PBR은 약 1.6배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다.
-
(4) 52주 최고 및 최저
코로나 19로 인해 최저 11,152원까지 하락했던 주가는 지난 1년간 최고 31,950원까지 성장하는 등 꾸준히 성장해왔다. 최초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 되었을 때에는 큰 폭으로 하락하였으나, 더 이상 바닥으로 갈 수 없는 상황과, 화물운송량을 늘리며 경영개선에 힘쓴 노력, 아시아나항공의 인수, 경영진의 내부갈등이 종식되면서 주가는 큰 폭으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최근 3개월 주가 조정을 받으며 박스권을 형성고하고 있다. 코스피 상승과 1년새 큰 폭으로 주가 회복을 실시한 피로감, 국민연금공단의 조원태 사내이사 재신임 반대, 외국인 투자자들의 지속적인 매도세 등 투자가 주춤함에 따라 주가는 최저 26,000원 부근까지 하락한 모습을 보였다.
-
(5) 배당수익률
대한항공은 코로나19 이전 주당 약 160원, 시가배당률 약 0.75%의 배당을 실시하였으나, 코로나19 이후 적자경영에 시다릴면서 배당을 할 여력이 되지 않았다. 따라서, 그 이후 배당을 실시하지 않았으며, 앞으로 당분간 흑자경영 및 손해보전을 할 때까지는 배당을 실시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동일업종 비교 (PER/PBR)
대한항공의 사업분야인 항공사업종의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한진칼(180640), 아시아나항공(020560), 진에어(272450), 제주항공(089590) 등이 있다. 이 중 한진칼과 아시아나, 진에어는 대한항공과 공동운명체처럼 움직일 것이며, 이들의 주가변동 흐름은 비슷하게 움직일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이들의 투자지표인 PER/PBR을 대한항공과 비교해보면 앞으로의 본 기업의 투자가치를 좀 더 자세히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
앞서 대한항공 그룹사인 한진그룹에 관하여 포스팅을 실시하였으니 참조하면 좋을 것이다.
[Why STOCK/코스피 분석] - 한진 (002320) 종목분석주가전망 택배비상승/아시아나 인수
한진 (002320) 종목분석주가전망 택배비상승/아시아나 인수
택배운임 현실화... 아시아나 항공의 인수 분석 Key Point 1. 택배비 인상은 호재? 악재? 2. 아시아나항공 인수 3. 영업이익의 꾸준한 증가 4. 코로나로 인한 언택트 업종 수혜! 1. 기업정보 및 사업분
whylaw.tistory.com
먼저, PER을 살펴보면 대한항공(-23배), 한진칼(-13배), 아시아나항공(-1.35배), 진에어(-3.74배), 제주항공(-2.54배)로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하여 항공주들이 모두 저조한 PER 비율을 나타낸다. 이는 앞으로 주가가 회복할 경우 크게 오를 가능성도 있다는 예측도 가능하게 한다.
PBR 비율은 대한항공(1.98배), 한진칼(2.59배), 아시아나항공(2.33배), 진에어(9.16배), 제주항공(4.47배)로서 대한항공은 타 항공주에 비해 낮은 PBR 비율을 보이고 있다.
대형항공사는 전체적으로 그 압도적인 규모에 따라 PBR 비율이 저가항공사에 비해 다소 낮은 경향이 있으며, 진에어, 제주항공 등 저가항공사들은 최근 트랜드 처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PBR 비율이 높게 평가되고 있다.
투자자별 비율
대한항공의 주요주주로는 한진칼외 대주주들이 약 28.61%를 보유하고 있으며, 외국인은 최대 28% 수준까지 보유하던 비율을 약 11%까지 지속적으로 보유비중을 줄이고 있다.
각종 악재속에 외국인은 경영성과달성이 어려운 항공주에서 벗어나 최근 각광받고 있는 해운, 2차전지 등의 종목에 투자처를 옮긴 것이다.
그러나 코로나19 백신 등 각종 항공업계의 호재가 발생하고 기대치가 높아지고 있는 이 시점에, 차츰차츰 외국인의 매수세가 시작될 것이라 많은 전문가들은 예측하고 있다.
최근 뉴스
대한항공의 주가전망을 살펴보기 위한 최근 뉴스 및 공시상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조원태 회장, 국민연금 반대에도 대한항공 사내이사 재선임
- 대한항공, 아시아나 인수 순조롭게 진행 중
- 대한항공-아시아나 통합시 화물 점유율 70% 육박!
- 현대백화점면세점, 대한항공과 맞손잡고 내국인 마케팅 시동
- 대한항공, 밑 빠진 독 호텔사업...4년연속 적자
최근 주가 동향 및 목표주가
대한항공은 최근 조정국면을 맞아 박스권을 형성하고 있고, 60일 추세선 부근인 약 26,000원을 저지선으로 삼아 반등의 기조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흐름대로라면 대한항공의 주가는 26,000원선을 기점으로 약 30,000~31,000원까지는 바로 상승할 기조가 보이며, 단기적 추세선을 차츰 우상향 곡선을 그리도록 나아갈 전망이다.
현재, 외국인 보유비율이 10%인 것을 감안한다면, 외국인이 차츰 매수세에 돌입하고, 경영성과의 지속적인 개선, 아시아나항공 인수의 안정적인 진행, 코로나19 팬데믹의 항공업계 타격문제의 지속적인 개선, 해외여행객의 증가 등으로 인해 주가는 장기적으로 30,000원 선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최근 붉어진 수에즈사고로 인해 해운물량이 항공물량으로 전환될 가능성도 크기 때문에 대한항공으로서는 호재가 아닐 수 없다.
1차 목표주가 30,000원을 넘어 그 이후의 주가 흐름을 살펴보면, 2차 목표주가는 약 35,000원 부근으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단기간에 35,000원까지 오르지는 않고, 여러 시장 상황이 변동할 것이기 때문에, 1차 목표주가 약 30,000~32,000원을 목표로 하여 일부 물량의 매도타이밍을 잡는 것이 좋아 보인다.
약 32,000원부근에서 1차 물량을 줄이고, 추세를 지켜보다가 35,000원까지의 장기적인 투자를 고려해볼만 하다.
각종 투자지표를 살펴보더라도 많은 항공주들이 대부분 저가평가되어 있기 때문에 코로나19 팬데믹이 완화될 경우 큰 폭으로의 성장을 기대해볼만 할 것이다.
대한항공에 대한 기업분석 및 주가를 전망함에 있어 다음의 분석을 함께 참고하여 살펴보면 앞으로의 주가 전망도 더욱더 자세히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Why STOCK/코스피 분석] - HMM[에이치엠엠] (011200) 종목분석주가전망 2021경기회복최대
HMM[에이치엠엠] (011200) 종목분석주가전망 2021경기회복최대
구 현대상선 HMM 해운주 20년 중 최대호황기 분석 Key Point 1. 해운주의 힘찬도약 2. HMM 수익성 강화 집중 3. 연일 컨테이너 수요 증가 4. 20년만의 해운업계 초호황! 1. 기업정보 및 사업분야 [해운] HMM(
whylaw.tistory.com
*본 분석은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이고, 개인적인 투자를 위해 작성된 것임을 알립니다.
따라서, 객관적 기업정보를 제외한 분석은 투자에 참고만 하실 뿐 신뢰하지 않으시길 당부드립니다.
* 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격려의 댓글 , 구독 부탁드립니다~
'SOLMON STOCK > 코스피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바이오로직스 (207940) 종목분석 주가전망, 목표주가. 연일성장 (0) | 2021.03.30 |
---|---|
SK이노베이션 (096770) 종목분석주가전망, 반전의 기회 (0) | 2021.03.29 |
삼성중공업 (010140) 종목분석주가전망 - 나는 언제쯤... (0) | 2021.03.25 |
셀트리온 (068270) 종목분석주가전망 k바이오 (0) | 2021.03.25 |
HMM[에이치엠엠] (011200) 종목분석주가전망 2021경기회복최대 (0) | 2021.03.25 |
댓글